제2강. 중국의 불교전래와 토착화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작성일2018-11-03 조회1,793 추천0본문
강연자 : 차차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불교문화예술 연구소장
2013. 3. - 현재 : 불천연구원 연구위원
2010. 3. - : 한국종교학회 운영이사
2006. 1. - : 한국불교학회 섭외이사
1. 불교의 유입과 초기의 신앙 형태
가. 불교의 전래 : 육로와 해로
나. 외교관과 공무역상과 함께 입국 : 서민불교
2. 불교의 중국 토착화의 요인과 번역
가. 안세고의 안반수의경 : 서민
나. 지루가참의 방광반야경 : 지식인
다. 유무의 논쟁과 진속이제의 확립 : 승조(구마라집의 제자)
3. 불교의 중국 토착화의 요인과 정치
가. 삼세양중인과설과 계급 모순의 해결
나. 사회통합과 왕권의 정당성 확보 : 영가의 난(312-316)을 기점으로 북방 민족이 한족을 지배
다. 한족의 출가 허용 : 중국에서 한족의 출가를 공식적으로 허용한 것은 불도징(232~348)스님이 활동하던 시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