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전경성구


연구활동

콜로키엄
콜로키엄

제5강. 근대의 무속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작성일2018-06-19 조회1,233 추천0

본문

강연자 : 서영대

1952년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 「한중 성황신앙의 비교연구」, 「韓國の土着宗敎と佛敎」 등이 있고, <원시신화론>, <통과의례> 등을 옮겼다. 한국무속학회 회장과 뻬이징대 초빙교수, 인하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 근대의 무속

1. 미신 타파 운동

 

1. 개화기; 문명개화 운동의 일환

 

운동의 주체;

개화사상가, 개화단체(독립협회; 1896~1898)

가톨릭, 기독교; 무속이 제일 문제, 사탄의 영역(장승=악마의 기둥)

(배척의 강도; 기독교가톨릭(파리외방선교회 독일 베네딕토 수도회)

국가; 1895년 내무아문(內務衙門)에서 각 도에 하달 등

단속을 소홀히 한 경무사 처벌

 

 

* 음사 배척과 미신 타파

淫祀(제사 주체, 제사 대상) 正祀; 공통분모 많음(山神 )/ 지배층 중심

미신 과학, 문명, 기독교(본질이 다름)/ 대중적 기반

위로부터의 탄압 전방위적 배척

 

운동의 양상;

신문, 잡지, 신소설, 강연 - 미신 타파의 필요성, 미신의 폐해 사례

* 李海朝; 驅魔劍(1908)- 壯者소미추(掃迷帚)(1905) 번안

국가 차원의 미신 단속과 처벌 요구

 

 

배척 이유

- 우상숭배

- 야만, 미개의 상징, 문명화를 가로막는 장애물

- 위생

- 낭비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런 질병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조선 민중들이 굿이나 무당에 의지한다는 사실이었다. 조선인들은 역병이 사신(邪神)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며, 특히 천연두의 경우는 마마란 역신이 달라붙어서 생긴 병이라고 여겨서 역신에게 제사를 드리고 있었다. 이에 1890년대 굿에 드는 비용이 1년에 25백만 달러였다. 1897년 한국장로교의 1년 헌금액이 971달러이고 당시 전국토의 농토 평가액이 4백만 달러라고 생각할 때 이런 비용은 어마어마한 비용이었다. 이에 선교사들은 이런 미신의 편만이 필경 나라의 근본을 헤친다고 보고 미신타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미신타파와 더불어 선교사들은 조상숭배를 금지하였다.

- 민경배, 한국교회의 사회사(1885-1945)(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p.38~39.

 

2. 일제강점기

 

일제 당국; 1912년 경찰범 처벌규칙(총독부령 제40) 제정- 예언, 치병 처벌

이에 입각한 처벌

무속 관련 범죄사례집 간행

- 식민지를 문명화 시킨다는 표방

문화정치 이후 처벌 완화 - 무당과 청년단체 대립 시 무당 옹호

* 조선인의 반발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운동; 개화기 보다 더욱 과격해지고, 이념을 초월하여 참여

온건; 논설, 강연회, 토론회, 가두 행진, 삐라 살포 // 미신 폐해 사례 보도

과격; 실력 행사 - 신당 파괴, 굿 현장 습격

* 미신 타파를 넘어 전통문화 파괴

* 일제 당국 보다 더 과격

작년(1924) 인천에서 굿을 한 횟수는 385가 되고 소비된 액수는 10,740이라고 한다. 그런 거금을 수재복구 같은 공익에 쓰면 얼마나 좋은가. 요즘 진남포, 해주 등지에서는 올해는 풍년이지만, 돌림병이 돌테니 이불귀솜을 가져다가 떡을 져먹으면 병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는 풍설이 떠돌아 너도나도 이불귀솜을 얻기 바쁘다. 이런 미신은 어리석은 여자들이나 하는 짓이지만, 그걸 말없이 허락하는 남자들이야말로 어리석은 사람이다. 거기다가 훔치교와 같은 미신에 속고 있으니 나라가 망할 지경이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미신을 버리자. 그렇지 않으면 死中求生을 얻지 못할 것이다.

(“미신을 타파하라동아일보 19258113)

무속=미신, 타파의 대상이란 인식 일반화

 

2. 변화

 

1. 무속계의 자구책; 무속계의 대응

 

한말 ; 姜壽蓮 - 진령군의 양녀, 몸주는 관성제군

무당 조합 奉神會 조직, 伊藤博文 제사 일본인이 배후

일제강점기; 무당 조합 결성(崇神人組合 등등)

* 단군을 내세우고, 天照大神을 업음으로서 단속을 피해가려 함; 무당내력

* 일본인과 결탁(천리교, 고미네 켄사쿠/小峯源作); 이용당함

(강연회, 共濟慈養院 설립)

 

2. 변화상

- 무당 유형의 단순화; 盲覡(맹인 판수)의 소멸

- 마을굿 소멸

- 정기굿 축소; 임시굿, 신령의 변화(마마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주시 강천면 가야리 651-2 신축회관 4층 (우편번호 12616)     전화. 031-887-9323(종교문화연구소)     팩스. 031-887-9322
Copyright © 2016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