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전경성구


연구활동

콜로키엄
콜로키엄

제2강. 고대의 무속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작성일2018-05-04 조회1,241 추천0

본문

강연자 : 서영대

1952년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 「한중 성황신앙의 비교연구」, 「韓國の土着宗敎と佛敎」 등이 있고,
<원시신화론>, <통과의례> 등을 옮겼다.
한국무속학회 회장과 뻬이징대 초빙교수, 인하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 고대의 무속

 

1. 지배자()의 성격 변화

고대국가; 중앙집권화, 왕권 강화, 사회통합

철기의 보급; 전쟁 빈번해지는 등, 정치적ㆍ사회적 변화

국왕의 종교적 성격이나 의미 축소(shaman king, priest king, divine kingship)

정치적, 군사적 역할 비중 증대

왕에 대한 기대치; 풍요와 다산 통치와 전쟁에서의 승리

단군신화 / 주몽신화, 탈해신화 ; 영웅적 성격 부각

부장품에서 儀器의 비중이 줄고, 무기의 비중이 커짐

정치와 종교의 미분화(神政政治; theocracy) 분리(天君, 阿老)

cf. 일본의 齋宮. 오키나와의 聞得大君(きこえおおぎみ). Africaroyal sister

종교의 저항; 蘇塗asylum적 기능

 

2. 권력 정당화 논리로 여전히 유효(권위의 원천); 종교적 권위의 상당 부분 유지

정치는 神意의 대행이란 관념; 백제 정사암(天政臺), 신라 四靈地

국왕은 신의 후예(天子, 天孫); 건국신화

- 신화의 재연(repetition)을 통해 확인; 고구려 東盟, 가야 戱樂思慕之事

국왕의 종교적 능력

- 예언; 벌휴니사금(184~196) 선덕여왕(632647)

- 신령을 봄; 헌강왕(875886). [※㉟경덕왕(742765)]

왕호 차차웅(次次雄); 신라 금관

冶匠; shaman=smith - 탈해왕

豆豆里 신앙(삼국유사1, 桃花女 鼻荊郞) 고려시대 부분에서 詳述 

국가제사 주관(親祀, 백제 比流王304344十年 春正月 祀天地於南郊 王親割牲)

국가제사

- 개념; 국왕의 명의로 지내는 제사 = 祀典

(正祀 淫祀 = 올바르지 못한 제사; 신이 올바르지 못함, 祭主가 올바르지 못함)

(親祀, 有司攝事)

- , , 소사의 구별; 자칭 형식 등의 차이

大祀; 皇帝(天子)臣某

中祀; 皇帝(天子)

小祀; 皇帝(天子)

- 현재적 기능(manifest function); 국가와 왕실 수호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 신령의 세계와 통하는 채널 독점, 왕권 정당화

삼국의 국가제사; 고유성 강함(비유교적 측면 많음)

통일신라의 국가제사; 대사 - 三山 등 산악제사가 주류

중국; 郊祀. 宗廟, 社稷(고려 이후 접근)

3. 무당; 국가 조직의 일원으로 국정 보좌

위로는 왕실에서부터 아래로는 에 이르기까지를 대상으로 활동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여주시 강천면 가야리 651-2 신축회관 4층 (우편번호 12616)     전화. 031-887-9323(종교문화연구소)     팩스. 031-887-9322
Copyright © 2016 DAESOONJINRIHO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