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강. 고대의 무속
페이지 정보
작성자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작성일2018-05-04 조회1,433 추천0본문
강연자 : 서영대
1952년 대구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동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으로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 「한중 성황신앙의 비교연구」, 「韓國の土着宗敎と佛敎」 등이 있고,
<원시신화론>, <통과의례> 등을 옮겼다.
한국무속학회 회장과 뻬이징대 초빙교수, 인하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Ⅱ. 고대의 무속
1. 지배자(왕)의 성격 변화
○ 고대국가; 중앙집권화, 왕권 강화, 사회통합
∵ 철기의 보급; 전쟁 빈번해지는 등, 정치적ㆍ사회적 변화
○ 국왕의 종교적 성격이나 의미 축소(shaman king, priest king, divine kingship)
→ 정치적, 군사적 역할 비중 증대
※ 왕에 대한 기대치; 풍요와 다산 → 통치와 전쟁에서의 승리
┏ 단군신화 / 주몽신화, 탈해신화 ; 영웅적 성격 부각
┗ 부장품에서 儀器의 비중이 줄고, 무기의 비중이 커짐
○ 정치와 종교의 미분화(神政政治; theocracy) → 분리(天君, 阿老)
cf. 일본의 齋宮. 오키나와의 聞得大君(きこえおおぎみ). Africa의 royal sister
○ 종교의 저항; 蘇塗의 asylum적 기능
2. 권력 정당화 논리로 여전히 유효(권위의 원천); 종교적 권위의 상당 부분 유지
○ 정치는 神意의 대행이란 관념; 백제 정사암(天政臺), 신라 四靈地
○ 국왕은 신의 후예(天子, 天孫); 건국신화
- 신화의 재연(repetition)을 통해 확인; 고구려 東盟, 가야 戱樂思慕之事
○ 국왕의 종교적 능력
- 예언; ⑨벌휴니사금(184~196) ㉗선덕여왕(632∼647)
- 신령을 봄; ㊾헌강왕(875∼886). [※㉟경덕왕(742∼765)]
○ 왕호 차차웅(次次雄); 신라 금관
○ 冶匠; shaman=smith - 탈해왕
※ 豆豆里 신앙(『삼국유사』 1, 「桃花女 鼻荊郞」) → 고려시대 부분에서 詳述
○ 국가제사 주관(親祀, 백제 ⑪比流王304∼344十年 春正月 祀天地於南郊 王親割牲)
※ 국가제사 - 개념; 국왕의 명의로 지내는 제사 = 祀典 (正祀 ↔ 淫祀 = 올바르지 못한 제사; 신이 올바르지 못함, 祭主가 올바르지 못함) (親祀, 有司攝事) - 대, 중, 소사의 구별; 자칭 형식 등의 차이 ┏ 大祀; 皇帝(天子)臣某 ┣ 中祀; 皇帝(天子)某 ┗ 小祀; 皇帝(天子) - ┏ 현재적 기능(manifest function); 국가와 왕실 수호 ┗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 신령의 세계와 통하는 채널 독점, 왕권 정당화 삼국의 국가제사; 고유성 강함(비유교적 측면 많음) 「 통일신라의 국가제사; 대사 - 三山 등 산악제사가 주류 ┗ 중국; 郊祀. 宗廟, 社稷(고려 이후 접근) |
3. 무당; 국가 조직의 일원으로 국정 보좌
○ 위로는 왕실에서부터 아래로는 民에 이르기까지를 대상으로 활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